드디어 기다리던 MAC OS 가 그 모습을 들어냈다. 예전에는 베타로 사용했었는데, 이번에 중점을 둔 것은 시리 기능이기 때문에 앱 호환성을 위해 업데이트는 정식버전에 초점을 두었다. 링크http://www.apple.com/kr/macos/sierra/https://itunes.apple.com/kr/app/macos-sierra/id1127487414?mt=12 다운로드 방법링크에 있는 URL로 파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2번째 링크는 iTunes store의 다이렉트 링크로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번 더 거칠 필요가 없으니 말이다.
동기산출물을 작성 해야 한다. 그럼 뽑아야지. 쿼리 SELECT B.TABLE_NAME, B.INDEX_NAME, B.COLUMN_NAME, A.UNIQUENESSFROM ALL_INDEXES A, ALL_IND_COLUMNS BWHERE A.INDEX_NAME = B.INDEX_NAMEORDER BY B.TABLE_NAME, B.INDEX_NAME, B.COLUMN_POSITION 참고용https://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37/statviews_1069.htm#i1578369http://docs.oracle.com/cd/B19306_01/server.102/b14237/statviews_1064.htm#i1577532 궁시렁형식은 각 형식에 맞춰..
동기앱을 삭제하고 다시 설치를 했는데, spotlight 기능이 제대로 되질 않는 것이다. 솔직히 이런 적이 한두번이 아니지만, 그때마다 구글링을 했었던 것 같다. 설정 방법우선 '시스템 환경설정'에 들어간다.그 다음 'Spotlight' 메뉴 그 다음 '개인 정보 보호' 탭 재인덱싱하고 싶은 폴더나 디스크를 추가한다. ('+' 버튼을 눌러서 선택하면 된다) 위 개인 정보 보호는 'spotlight 로 검색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한' 그런 용도인 듯 싶다. 검색에 불필요한 부분이나 보호해야 할 영역으로 검색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보이나 이 것으로 역이용하는 듯하다. 하지만, 응용 프로그램을 넣었다 뺐다를 한 두차례 해보았으나, 그 역시도 안됐을 때가 있었는데, .... 잘못 넣었다 뺐나?????? 아무튼 애..
들어가기 전...script 로 host url 을 가져와서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처음에는 location.host 를 사용하면서 앞에 'http://' 를 추가해주는 식으로 사용했었는데, ie11 부터 지원하는 속성이 생겼다. 사용 방법ex) var url = location.origin + query_string; 개발자도구로 실행해보면 필자는 맥으로 캡처를 했기 때문에 safari 로 테스트 했지만, IE11 에서도 동일한 값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원 브라우저 #참고 : http://www.w3schools.com/jsref/prop_loc_origin.asp
접속에러 아니 이건 또 무슨 에러지 ???? 원격 호스트 증명? 식별?이 바뀌었다고 하는데 도대체 뭐지? 라고 생각했던 것도 잠시... 아... os 를 갈아엎은 게 생각이 났다. 그래서 도대체 어떻게 해결을 해야 되는 건가? 했는데.... 역시 구글링은... 해결방법 이와 같이 ssh를 요청하는 pc 에서 ssh-keygen 을 재등록해준다. [참고 : http://visu4l.tistory.com/343]
들어가면서...처음에 라즈베리파이를 사고, 신나서 회사에서 바로 뜯어서 윈도우가 설치된 업무용 노트북으로 "Win32 Disk Imag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write 해주었는데,이번에는 업무용 노트북이 없는 집에서 맥으로 하게 되어 dd(Data Description) 명령어를 써보게 되었다. [참고용 : https://ko.wikipedia.org/wiki/Dd_(유닉스)] USB BSD 확인상단바에 "Apple메뉴 > 이 맥에 관하여"를 클릭하면 현재 OS 버전, 시스템 정보가 나오게 되는데, "시스템 레포트..."를 클릭하여 들어간다. "시스템 리포트..."를 클릭하여 들어가보면,뭔가 다 까발려진 기분이라 좀 그렇지만, ㅎㅎ BSD 를 확인만 하면 된다. dd 명령어로 img writ..
1. 설치#다운로드 링크 : https://www.sdcard.org/downloads/formatter_4/eula_mac/index.html 위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좌측에 윈도우와 맥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처음 링크를 클릭하면 "Mac" 이 선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아래로 스크롤 하면 된다. 이렇게 까지 설명을 해야 되나 싶지만, .............. Accept 를 선택하면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2. 포맷하기더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하지만, USB 는 연결해야 ...... 이제 아래 Format 버튼만 눌러준다면 정상적으로 포맷이 된다.
1. 설치 동기확장자명이 xz 인 압축파일을 풀게된 동기는 라즈베리파이에서 OS가 라즈비안이 아닌 다른 OS 를 설치 하기 위해 다운받은 이미지가 *.xz 였기 때문에 단지 확장자가 *.xz 인 파일을 압축을 풀기 위함이다. 다른 이유가 있겠는가? 사실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해보려 했으나, 복잡한 방법으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기에... 사실 영어라... 사실 압축 하나 풀기 위해 귀찮은 작업을 더 하기 귀찮.... 핑계일 뿐이라... 2. 앱 설치설치는 어렵지 않다. Store 앱에서 "Unarchiver" 앱을 다운 받는다. 가장 왼쪽에 위치한 The Unarchiver 앱이다. 3. 압축 풀기 The Unarchiver 앱으로 정상적으로 *.xz 확장자를 압축을 풀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뒷 ..
몇 줄 되지 않은 데이터를 넣을 때는 GUI가 잘 되어 있는 툴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넣어도 되지만,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넣을 때 GUI 가 잘 되어 있는 툴을 이용하여 넣을 때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려서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oracle은 기본적(? - 기본옵션, 뺏다면 어쩔 수 없지만...)으로 sqlplus 를 이용하여 CUI 로 빠르게 넣을 수 있다. SQL 문으로 작성된 파일 실행하기 SQL> @c:\my_scripts\my_sql_script.sql 참고 : https://docs.oracle.com/cd/B25329_01/doc/appdev.102/b25108/xedev_sqlplu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