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를 전원에 연결 후, usb 마우스, 키보드와 HDMI을 연결해서 모니터에서 작업을 하는데, 처음에 무엇부터 해야 할지 곰곰히 생각해보다가 '무엇보다 화면과 분리를 해야 겠다.' 생각이 들어 ip부터 확인을 했다. 필자는 맥북으로 원격제어를 할 것인데, 윈도우에서 원격제어를 할 것을 감안하여 MicroSoft 사에서 제공해주는 Micro Remote Desktop을 사용하기로 했다. 우선 xrdp를 설치한다.(추후 캡쳐화면 넣을 것임....) 이 원격제어 프로그램은 3389 포트를 사용하므로 나중에 포트포워딩 시에는 3389를 해당 ip와 같이 오픈시켜주면 된다.아래 화면은 iptime 기준 설명이다. 규칙이름에는 원하는 규칙이름을 넣고, 외부 포트는 어떠한 포트로 접속을 할 것인지 Micro..
"라즈베리파이는 영국의 라즈베리 파이 재단이 학교에서 기초 컴퓨터 과학 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만든 싱글 보드 컴퓨터이다."라고 위키에 나온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위키에서 찾아보면 된다.(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라즈베리_파이) 쇼핑몰 A사에서 구매한 라즈베리파이2 Model B 간단한 스펙은 아래와 같다. 더 자세한 내용은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자. (출처 : https://www.raspberrypi.org/) 웹프로그래머의 직업을 갖고 있는 필자의 라즈베리파이를 사게된 동기는 집에서 공부해야지 하면서 늘 환경탓만 했고, 공부는 시간이 나면, 대충 눈으로만 하는... 사실 집에서 쉴뿐....개인용도로 사용하는 PC는 맥북에어 밖에 없는 나로선 내 애지중..
집에서 혼자서 spring framework 설정 과정부터 다시 한번 훑어보려 하였으나, 역시 장벽이 있었으니...그 이름 바로 DB ! 그것도 Oracle.... 아... 지원안하네.. 리눅스... 맥이랑 뭐 다른가? 했더니... 좌절... 괜히 MySQL도 지웠어... 경솔했어... 그래서 다시 MySQL 설치를 하려던 순간...전에 면접 볼때 학교 선배님이셨던 형님께서 마리아디비를 써봤냐고 물으셨던 기억이 되살아난 김에....그래 뭐 대수겠냐 싶어서 설치를 해보기로 결정했는데..... 우선 공부해보고.. ㅋㅋ 설치는 일단 성공 ! (출처 : http://cpuu.postype.com/post/24270/) 터미널로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했다. MariaDB 설치 전 우선 필요한 프로그램은 Xcode,..
우선 네트워크 유/무선을 우선순위를 나누려고 하는 이유가 무선이 전용선에 무선공유기를 꽂아서 사용하는 형태가 아닌 유료 무선 라우터를 사용해야 하는 개발환경이기에.... 조금이나마 무선 라우터 사용량을 줄이기 위함임을 밝히고 설명을 계속 하도록 하겠다. 우선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까지 들어오는 방법을 모르진 않겠지...우선순위까지 나누려고 한다면 당연히 스킵하고, 계속... 아래 캡쳐화면을 보면 무선이 위에 잡혀있고, 유선이 아래 잡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필자는 네트워크 타입이 회사 네트워크로 되어 있지만, 각자 설정한 대로 홈 네트워크로 설정했다면 홈 네트워크, 공용 네트워크로 설정했다면 공용네트워크로 보일 것이다. 1. '어댑터 설정 변경'을 클릭해준다. 우선 로컬 네트워크부터 우선순위를 설..
아, 오늘은 맥에서 이클립스가 말썽이구나...지친다 이렇게 하나 둘 빵빵 터져주는 것이..뭐 큰 건 아니지만, 아주아주 불편함..Syntex가 맞지 않는 에디터로 보면 아주 불편함. 늘 편하게 보던 에디터가 다른 엉뚱한 에디터로 열린다면 .... 아... 짜증뭐 늘 보던 에디터가 어떤 에디터인지 모른 상태에서 jsp editor 였던 것 같은데, 목록엔 안보이고, 뭐지...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맥에서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설정을 이클립스에 적용하던 중...다 완료했다고 생각하고 프로젝트를 import 해서 소스를 보려고 하는데 JSP 파일을 열라고 하니까 Sublime Text 2 가 열렸던 것이클립스 설치 전에 간단히 소스 편집용으로 사용했던 Sublime Text 2.... 근데 이클립스를 깔..
혹시 scrpit function 호출 시, 전달인자의 갯수를 더 주거나 아니면 덜 준 적이 있는가?작년 프로젝트에서 처음 function 전달인자 갯수가 다른 것을 접해본 적이 있었다.그때는 그냥 뭐 이게 뭐야, 잘못됐네. 이러면서 ... 호출이 되긴 했지만 관심 없었다.근데 이번 프로젝트 기본 구성된 프레임웍을 가지고 개발 시작 전에 잠깐 프레임웍을 훑어보던 중 또 전달인자가 다른 부분을 확인했다. 이번엔 시간도 많으니 한번 궁금해서 찾아봤다. 참고 URL : http://www.w3schools.com/js/js_function_parameters.asp 영어라서 마음에 들지 않지만, 제일 맨 위에 문장을 봐보자.A JavaScript function does not perform any check..
순서는 아래와 같다.External Stylen Sheet